리눅스마스터 2급 2차 기출문제 해설/보충설명 1702 20170610 (2)

시험종목 : 제1702회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시험일자 : 2017. 06. 10.(토), 14:00 ~ 15:40(100분)

바로가기 >> 리눅스마스터 기출문제 목록

과목2 (49-80)

Xlib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 서버와 대화를 해주는 역할을 한다. Xlib 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의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최근 X.org에서는 XCB(X protocol C-language Binding) 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XCB
Xlib와 비교하여 향상된 쓰레딩 기능을 지원하고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라이브러리 크기가 작고 단순하며 직접 X 프로토콜에 접근도 가능하다.

xhost
X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느 클라이언트를 지정하거나 해제하는 명령

xauth
X 접근허가(authority) 파일 관련 도구. 키값을 사용하여 인증
xhost 를 사용하면 IP변경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원치 않는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수 있다. 이때 xauth 를 이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isplay Manager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요청하고 유효한 값이 입력되면 세션을 시작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

윈도 매니저
X 윈도 환경에서 윈도이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윈도 매니저 종류
대표적인 X 윈도 매니저에는 GNOME 에서 사용되는 Mutter 및 Metacity 와 KDE 에서 사용되는 KWin 및 KWM 이 있다.

startx
X 윈도를 실행시키는 스크립트로 시스템 환경을 초기화시키고 시작하는데 필요한 여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최종적으로 xinit 을 호출하는 명령이다.

Xlib 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을 등의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개발 시에 Xlib 의 기능을 포함하는 고수준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Xt, Xaw, Motif, FLTK, GTK+, Qt, Tk, SDL 등이 있다.

/etc/inittab
부팅과 관련된 런레벨이 정의되어 있다.
run level을 재부팅 후에도 적용하기 위해 변경해야 하는 파일

리눅스의 런레벨
실행 레벨이란 init 데몬에 의해 수행되어질 내용이나 시스템 초기화 등을 정의해둔 여러가지 모드를 말한다.
리눅스는 총 8개의 레벨로 정의가 되어있다.
0 시스템의 종료할때 호출되는 레벨이다.(기본값으로 설정해서는 안됨)
1 단일 사용자모드(Single User Mode)로 로그인 과정 없이 root 사용자로 리눅스 시스템을 부팅하여 일종의 관리자 모드 같은 역할을 한다.
2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다중 사용자 모드
3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Multiuser Mode)
4 사용되지 않는 레벨이지만,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X윈도를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로 최근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레벨이다.
6 시스템을 재부팅할 때 호출되는 레벨이다.(기본값으로 설정해서는 안됨)

LAN 은 구성방식에 따라 스타형, 버스형, 링형, 망형으로 나뉜다.
스타(Star)형
중앙에 위치한 중앙 컴퓨터가 각 컴퓨터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중앙의 제어기(허브 또는 교환기)를 중심으로 모든 기기는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한다.
버스(Bus)형
하나의 통신회선(Bus)에 여러 컴퓨터를 전송하는 연결해서 방법으로 모든 장치들은 동등한 조건으로 경쟁한다.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된다.
링(Ring)형
원형의 통신회선에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된 앞의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동작하며, 토큰 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망(Mesh)형
스타형과 링형의 혼합된 형태로 각 네트워크 장비가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상호간에 그물 형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관계로 LAN 을 구성할 때보다 라우터를 이용하여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구성한 때 주로 사용된다. 장애 발생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여 신뢰성이 높다.

이더넷 매체 종류와 배선방식
10BASE-2 : 1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동축 케이블이고, 전송거리는 200M 까지 가능
10BASE-5 : 1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동축 케이블이고, 전송거리는 500M 까지 가능
10BASE-T : 1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절연된 Twisted 케이블 사용

100BASE-TX
: 10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UTP-5 또는 STP 사용
100BASE-FX : 10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광케이블을 사용

1000BASE-T
: 1000Mbps 의 전송 속도에 전송 매체는 UTP-5를사용
1000BASE-SX : 단파장의 광섬유를 사용하는 규격으로 최대 220~550M 까지 가능
1000BASE-LX : 장파장의 광섬유를 사용하는 규격으로 최대 전송거리는 다중 모드가 550M, 단일모드가 5KM까지 가능

오류 제어 : 데이터 교환 시에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는 것으로 체크섬 기능이 대표적이다.


OSI 계층과 관련 프로토콜
응용 계층 : HTTP, SMTP, POP3, IMAP, DNS, NFS, FTP, TELNET, SSH 등
표현 계층 : SMB, AFP, ANS.1 등
세션 계층 : SSL, TLS, NetBIOS 등
전송 계층 : TCP, UDP, RTP 등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ARP, RARP, IGMP, BGP, RIP, IPX 등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토큰 링, FDDI, ATM 등
물리 계층 : RS-232, 10BASE-T, 100BASE-TX, DSL 등

포트 번호와 주요 프로토콜
21 : FTP 제어에 사용
22 : SSH 에 사용
23 : TELNET 에 사용
25 : SMTP 에 사용
53 : DNS 에서 사용
80 : WWW 프로토콜인 HTTP 에서 사용
110 : POP3 에서 사용
143 : IMAP 에서 사용
161 : SNMP 에서 사용
443 : HTTPS 에서 사용

NFS(Network File System)
NFS는 1984년 Sun Microsystems 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TCP/IP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마치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NFS 는 NIS 와 더불어 RPC(Remote Procedure Call) 기반으로 작동되므로, 해당 서비스를 해주는 rpcbind 데몬을 먼저 실행시켜야 한다.

삼바(SAMBA)
마이크로스프트와 인텔은 윈도(Windows)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 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Server Message Block(SMB) 이라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는데, 삼바란 이 SMB 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윈도우 운영체제간의 자료 공유 및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SMB 프로토콜은 유닉스와 윈도 환경을 동시에 지원하는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로 확장되었다.

21 : FTP 제어에 사용

telnet을 통하여 호스트에 원격 접속 한다.
사용법
telnet [옵션] [호스트] [포트]

21번 : FTP 제어 포트

ssh 클라이언트 명령어 : ssh
리눅스에서는 openssh-clients 패키지를 설치하면 ssh 명령을 이용해서 접속할 수 있다.

[사용법]
$ ssh [option] 호스트명 or IP 주소
ssh 는 서버로 접속할 때에 같은 계정으로 접속을 시도하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계정이 같으면 생략해도 된다.

$ ssh 계정 이름@호스트네임
-l 옵션 대신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클라이언트 계정과 서버의 계정이 다르면 계정 이름을 명기해야 한다.

$ ssh 호스트네임 명령
rsh 와 같이 원격 셸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접속 없이 명령만 내릴 때 유용하다.

[주요 옵션]
-l : 다른 계정으로 접속할 때 사용한다. 이 옵션 대신 서버 주소 앞에 @를 붙여 사용할 수도 있다.
-p : ssh 서버의 포트 번호가 22번이 아닌 경우 -p 옵션을 사용해서 바뀐 포트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루프백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스로 네트워크 기능을 점검하기 위한 것
루프백 IP 주소는 127.0.0.1
루프백 호스트명은 localhost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이다. IP 주소, 넷마스크 주소, MAC 주소 등을 설정하고 확인할 수 있다.
route :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관리하는 명령. 네트워크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한다.
mii-too : 보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점검하고 설정하는 유틸리티

netstat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이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이외에도 라우팅 테이블 정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매스커레이드 연결 상태, 멀티캐스트 멤버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ip : 이더넷 장치, IP 주소, 라우팅 정보 등의 설정 정보를 출력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이다.

ethtool : 이더넷 카드 설정 정보를 출력하거나 변경하는 명령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설정이외에 IP 주소 설정이 필요하다. DHCP 서버에 의해 IP 를 자동으로 할당받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서버로 사용하거나 고정IP 를 할당받은 경우에는 정확한 주소 정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IP 주소, 넷마스크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이 있는 경우에는 속해있는 도메인의 이름도 알아야 한다.

netstat 의 상태값
LISTEN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패킷을 위해 소켓을 열고 기다리는 상태.
SYS-SENT : 로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SYN_RECEIVED : 서버 시스템이 원격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아 응답을 하였지만 아직 클라이언트에게
확인 메시지는 받지 않은 상태.
ESTABLISHED : 3Way-Handshaking 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FIN-WAIT1 : 소켓이 닫히고 연결이 종료되는 상태
FIN-WAIT2 : 연결은 종료된 상태이고, 원격호스트로부터 종료되었다는 정보를 기다리는 상태
CLOSE-WAIT : 원격 호스트는 종료된 상태이고 소켓을 종료하기 위해 기다리는 상태
CLOSING : 주로 확인 메시지가 전송 도중 분실된 상태
TIME-WAIT : 패킷 처리는 끝났지만 분실되었을지 모를 느린 세그먼트 위해 당분간 소켓을 열어놓은 상태
CLOSED : 소켓 연결이 종료된 상태이
LAST_ACK 원격 호스트가 종료되고 소캣도 닫힌 상태에서 마지막 ACK 패킷을 기다리는 상태
UNKNOWN : 소켓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

임베디드 리눅스란 휴대전화, 개인 정보 단말기(PDA), 미디어 플레이어, 셋톱 박스, 자동차, 의료기기 등과 같은 임
베디드 컴퓨터 시스템에서 리눅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 클러스터링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구성된 시스템

클러스터링 종류
고계산용 클러스터(HPC)
HPC 클러스터는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데 주로 과학계산용으로 활용되고, 흔히 부르는 슈퍼컴퓨터가 HPC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제작된다. 다른 말로 베어울프 클러스터라고도 한다. 최근에 CPU, Motherboard, Disk 등 하드웨어의 성능 개선, 저렴한 가격과 개발 도구인 GNU C Compiler, 관련 프로그램 툴, PVM 및 MPI 같은 메시지 패싱 라이브러리들이 등장하면서 더욱 더 높은 성능을 내고 있다.

부하분산 클러스터
대규모의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 기법으로 이용자가 많은 웹 서비스 등에 활용가치가 높다. 보통 여러 대의 리얼 서버에 부하를 분산해 주는 로드 밸런서를 두고 운영한는 방법이다.

고가용성 클러스터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클러스터로 위에 열거된 부하분산 클러스터와 연동하여 많이 사용된다. 부하분산 클러스터에서 로드 밸런서의 오류가 발생하여 동작을 하지 않는다면 리얼 서버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더라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으 Primary Node 가 부하분산의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Backup Node 가 Primary Node 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가 이상이 발생하면 서비스를 받도록 구성하는 바법이다.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 영국 라즈베리 파이재단에서 만든 초소형 초저가 PC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답글 남기기